다음으로 향한 장소는 진포해양테마공원이다.
근대역사박물관 바로 옆에 위치해 있어 도보로 이동 가능하다.
전투기, 탱크 등 다양한 볼거리가 있는 진포해양테마공원
진포해양테마공원으로 향하다보면 뜬다리 부두가 나온다.
근대역사박물관 내에도 뜬다리 부두에 대한 설명이 있어서, 도대체 이게 뭘까 궁금했는데 바로 옆 공원에서 실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군산은 조수간만의 차가 심하여 썰물 때면 갯벌이 드러나 배가 접근하기 어렵기 때문에, 뜬다리 부두와 같은 인공 조성물을 선박 접안시설로 이용하게 되었다고 한다. 아쉽지만(?) 실제 부두를 이용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안까지 들어가 볼 수는 없다.

곧이어 나오는 진포해양테마공원은 고려 말 최무선 장군이 함포를 만들어 왜선을 500여 척이나 물리쳤던 진포대첩을 기념하기 위해 조성한 공원이다. 의외로 이 곳에 볼거리가 많았다.
이 곳에는 해양경찰선, 장갑차, 전투기 등 다양한 장비들이 전시되어 있다.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도 야외에 이렇게 전시물이 있는데, 이 곳도 규모는 작지만 많은 종류의 장비들이 알차게 전시되어 있었다. 가까이 올라가서 볼 수 있는 계단이 있어 사진 찍기에도 좋다. 우리가 방문한 날은 유난히 날씨도 맑고 쾌청했다.

최무선장군과 화포 모형이 전시되어 있다. 바로 앞 바다에는 실제 배들도 정박하고 있어 볼거리가 많았다.
최무선장군의 전투와 우리나라 화포의 역사는 공원 안에 위치한 위봉함 전시관에서 자세히 볼 수 있다.

실제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던 군함, 위봉함
공원 한 켠에는 위봉함이라는 거대한 배가 전시되어 있다.
위봉함은 1945년 미국에서 건조된 후 제2차 세계대전 때 연합군 상륙작전에 참전한 군함이라고 한다.
향후 우리나라는 이 배를 인수하여 월남전에도 투입했다고 한다.
공원 자체는 관람료가 없지만, 위봉함에 들어가려면 입장료를 내야 한다. 성인은 1,000원, 역시나 6세 미만은 관람료가 무료이다. 어제 포스팅한 군산 근대역사박물관과 이 곳 위봉함, 그 외에도 미술관 등 네 군데를 모두 방문할 의사가 있다면 통합권을 끊고 가길 추천한다.

생각보다 알찬 위봉함 전시관
안에 들어가보니 생각보다 전시가 괜찮았다. 1층에는 우리나라 화포의 발전사, 진포대첩 등에 대해 상세하게 다루는 전시가 있다. 사실 해전이라고 하면 이순신 장군의 해전에 대해서만 잘 알고 있었지, 부끄럽지만 다른 해전에 대해서는 잘 몰랐는데 이번 기회를 통해 많은 역사적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안쪽으로 들어가면 진포대첩에 대한 8분짜리 영상이 나온다. 우리 애들은 재밌다고 기다렸다가 두 번이나 보았다.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이라는 노래에 '화포 최무선' 이라는 가사가 나오는데, 그 덕에 최무선 장군이 화포를 발명했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전쟁의 이름이 '진포대첩' 인지는 몰랐던 나. 그리고 진포대첩이 군산 앞바다에서 있었던 일이라는 것도 이제야 알게되었다.
최무선 장군을 비롯 심덕부, 나세 장군은 화약 무기를 적재한 함선 100척으로 왜구의 적선 500척을 파괴하고 왜구에게 붙잡혀있던 330명의 고려 백성을 무사히 구출했다고 한다. 왜구가 진포에 칩입할 때, 그 수가 약 10,000명 정도 되었으며, 대부분의 왜구는 진포대첩 때 소탕되었다고 한다.

2층으로 향하는 계단을 오르면, 전쟁유물전시 및 배에서의 병영 생활을 볼 수 있는 전시관이 나온다.


당시 사용했던 화장실과 욕실, 작은 침대, 식당 등 누가 보아도 정말 불편해보이는 시설들이 나온다.
그냥 병영생활도 힘들텐데, 배 안에서의 병영생활이라니.. 우리나라 군인들에게 다시 한 번 감사함을 느낀다.
열심히 관람했으니, 이제 늦은 점심을 먹으러 출발해본다.
[진포해양테마공원]
전북 군산시 내항2길 32
화~일 : 9:00 ~ 17:00
월 : 휴무
(위봉함만 휴무, 공원은 운영)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남 서천군] 엄청난 규모의 바다생물 전시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씨큐리움 (58) | 2025.02.21 |
---|---|
[전북 군산시] 철길을 따라 걸으며 느끼는 옛 추억여행, 경암동 철길마을 (53) | 2025.02.19 |
[전북 군산시] 우리나라 근대 역사를 배울 수 있는 군산 근대역사박물관 + 군산세관 (21) | 2025.02.16 |
[서울 서대문구] 추운 날, 아이와 가기 좋은 서대문자연사박물관 (13) | 2025.02.08 |
[경기 파주시] 직접 보고 느끼는 통일교육, 오두산 통일전망대 (10) | 2025.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