곧 4월인데도 눈이 오는 이상한 날씨이다. 눈이 오다말다 하니 야외에서 놀긴 그렇고 해서 광화문 지하에 있는 충무공, 세종 박물관을 찾았다. 이 곳은 아이들과 함께 종종 방문하는 곳으로 꽤 전시가 잘 되어 있다.
처음 이 곳에 왔던 것은 내가 어릴 때였는데.. 정확히는 기억이 안나지만 그 때 어머니와 동생과 함께 구경을 왔던 기억이 있다. 이 곳을 내 아이들과 함께 오게 되다니. 어릴 때 방문했던 것과 합치면 네 번째 방문이다.
오늘은 전시를 관람하다가 중간에 식사를 해야 해서 전체를 다 둘러보지는 못했지만, 부분적으로나마 간단하게 소개해 본다.
세종이야기 · 충무공이야기 박물관
광화문 지하, 정확하게는 세종문화회관 지하에 가면 세종대왕과 이순신장군을 주제로 한 박물관이 있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광화문 광장에 세종대왕과 이순신장군의 동상이 있는 것을 알 것이다.
세종대왕 동상이 더 오래되었을 것 같지만, 사실 세종대왕 동상은 2009년도에 제작되었고, 이순신장군 동상은 1968년에 제작되었다고 한다.
박물관 가는 길
세종이야기 · 충무공이야기 박물관으로 가는 길은 여러 통로가 있으며, 이번에는 세종문화회관 좌측 입구로 들어가게 되었다. 좌측에 길다란 입간판으로 '세종이야기, 충무공이야기' 표시가 되어 있고, 그 사이 작은 문으로 들어가면 된다.

이렇게 세종문화회관 한 켠에 박물관 전용 입구가 마련되어 있다.

입구로 들어서면 지하로 향하는 엘리베이터가 있으니, 이것을 타고 내려가면 된다.
참고로 세종대왕 동상 바로 뒤편에도 지하로 내려가는 엘리베이터가 있으니 그 쪽으로 내려가도 된다.

다양한 체험과 볼거리가 있는 충무공이야기
지하로 내려가면 안내데스크를 사이에 두고 충무공이야기 / 세종이야기 박물관이 나뉘어 있다.
이순신장군을 좋아하는 아이 덕분에 우리는 충무공이야기 먼저 둘러보았다. 전시관은 무료 관람이다.
우리는 대중교통을 타고 갔으나, 주차가 필요한 경우 세종로 공영주차장에 주차가 가능하다.
충무공이야기 박물관에 들어서면 안에 들어가 볼 수 있는 거대한 거북선이 반겨준다.

이 외에도 한켠에 아이들이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게임들이 있다.
화면을 보고 노를 젓는 게임도 있고,

적군의 배에 총과 대포를 쏘는 게임도 있다. 주말인데도 사람이 많지 않아 이 게임만 아이들과 다섯 판은 넘게 한 것 같다.
어른들도 꽤 집중해서 게임에 몰입하는 모습이었다.

나무 블럭으로 판옥선과 거북선을 조립하는 체험도 있고, 기타 여러가지 체험이 있어 이 곳에서 꽤 오랜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

당시 조선의 해전을 정리해 둔 지도를 지나면,

이순신 장군의 해전을 다룬 영상을 볼 수 있는 곳이 있다.
영상은 7분 짜리로 우리는 두 번 보았다....

열쇠고리, 그립톡 등 기념품 만들기 체험
여기까지 보고 아이들이 배가 고프다 하며 전시관 밖으로 나가려는데, 체험이 눈에 띄었다.
배지, 자석 / 열쇠고리 / 그립톡 등의 기념품 만들기 체험이 있었고, 아이들이 해보고싶다고 하여 하나씩 고르게 해 주었다.

체험은 한 개 당 2,000원으로, 중앙 안내데스크 쪽으로 가면 무인발권기를 통해 체험 티켓 구매가 가능하다.

색연필, 사인펜 등 다양한 채색 도구가 있어 이 곳에 앉아 도안에 색칠을 하고 제출하면 열쇠고리를 제작해준다.
아이들이 어려서 이런 것을 잘 할 수 있을까 생각했는데, 아이들이 생각보다 재미있게 즐기고 결과물에 대해 뿌듯해했다.
하루종일 직접 만든 열쇠고리를 들고 다니며 좋아했다.

근처 식당에서 간단한 점심
점심을 먹으려고 밖으로 나왔는데 눈이 쏟아졌다. 급한 마음에 일단 앞에 보이는 분식집에 들어갔다.
세종문화회관 바로 좌측에 위치한 분식집이다.

이것저것 든든히 먹고 나오니 다시 눈이 그쳐 지하철을 타고 서대문역으로 이동, 서울역사박물관으로 향했다.

걷기 힘들다 하면서도 계속 놀고싶어하는 아이들..
그리고 점점 체력이 고갈되는 나.
역시 둘 데리고 대중교통 이용은 힘들다. 그래도 아이들이 좋아했으니 만족스러웠던 일요일 하루.
위치정보 및 운영시간
[세종이야기 · 충무공이야기]
서울시 종로구 세종대로 175 지하2층
월 : 휴무
화~일 : 10:00 ~ 18:30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은평구] 봄이 늦게 찾아오는 곳, 북한산의 대표적인 사찰 진관사 (8) | 2025.04.12 |
---|---|
[서울 중구] 올해 덕수궁 벚꽃은 언제 만개할까? 실시간 개화 현황 (22) | 2025.04.02 |
[경기 고양시] 3시간이 짧게 느껴지는 고양 어린이박물관 (16) | 2025.03.16 |
[서울 은평구] 무료로 볼 수 있는 한옥마을과 북한산 뷰, 은평역사한옥박물관 (40) | 2025.03.03 |
[경기 의왕시] 진짜 증기기관차를 볼 수 있는 철도박물관 (39) | 2025.02.25 |